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1분기 전셋값, 서울보다 ‘경기’가 더 뛰었다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서울 3.1%·경기도 6.6% 상승… “입주물량 감소·전세난민 이동이 원인”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지난 1분기 경기도의 전셋값 상승폭이 서울의 2배에 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입주물량 감소와 수도권 외곽으로 이동한 전세난민이 가장 큰 원인이라는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19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1분기 경기도의 전셋값 변동률은 6.68%로 전분기(5.01%)보다 1.67%포인트나 올랐다. 반면 같은기간 전세난으로 몸살을 앓았던 서울은 3.1%의 전셋값 변동률을 기록했다. 전분기(5.1%)보다 2%나 가라앉은 것은 물론 경기도의 절반에 머물렀다.
서울과 경기도의 전셋값 상승세는 두 곳 모두 지난해 3분기에 시작됐다. 하지만 최고점을 찍은 시기는 각각 다르다. 서울의 경우 지난해 4분기 5.1%의 변동률로 고점을 찍고 내려온 반면 경기도는 지난 1분기에 6.68%를 기록한 뒤 상승폭을 줄여가고 있다.

경기도의 전셋값 강세가 계속된 원인은 ‘입주물량’에서 찾을 수 있다. 지난 1분기 서울은 입주물량이 증가하면서 전셋값 상승세가 둔화됐다. 그러나 경기도는 입주물량이 크게 줄면서 지난해말부터 이어진 전셋값 강세가 한층 심화됐다.

지난 1분기 지역별 입주물량은 전국 4만8352가구로 ▲서울 1만940가구 ▲경기 8320가구 ▲충남 4548가구 ▲인천 4163가구 순이다. 평년의 경우 전국 대비 입주물량은 경기도가 항상 많았지만 지난 1분기에는 서울 입주물량이 더 많았던 것이다.
특히 1분기 서울 입주물량은 강동, 송파, 용산, 강남 등 업무지구에 집중됐다. 생활편의 시설 등이 우수해 주거선호도가 높은 동남권과 도심권역에 75% 가량이 몰렸다. 전세 수요자들의 신규 입주단지에 대한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던 이유다.

이에 반해 경기도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입주물량이 계속 줄어 1분기에 8320가구만이 입주를 시작했다. 2만4277가구가 입주했던 전분기보다 70%가 줄어든 셈이다.

새로 발생한 전세수요와 저렴한 물건을 찾아 서울을 떠난 전세난민들도 경기도 전셋값 상승을 부추겼다.

그러나 2분기에는 경기도의 전셋값 상승세가 다소 둔화될 전망이다. 경기도 입주물량이 1만4000여가구에 달하는데다 3~4분기에도 1만가구 이상의 입주물량이 예정된 탓이다.

이다혜 부동산114 연구원은 “2분기 수도권 입주시장에는 1분기와 비슷한 수준인 4만6000여가구가 공급될 예정이지만 2분기는 계절 수요가 뚜렷하지 않은 비수기이기 때문에 전세물건을 찾는 층이 얇아질 전망”이라며 “이로 인해 전셋값 상승세 또한 1분기보다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부동산114

/부동산114

AD
원본보기 아이콘




배경환 기자 khbae@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포토] 박찬대 "이진숙 방통위원장 지명, 어처구니 없는 일" [포토] 코엑스, 2024 올댓트래블 개최 [포토] 국민의힘, 민주당 규탄 연좌농성

    #국내이슈

  • 인도 종교행사서 압사사고 100명 이상 사망…대부분 여성 빈민촌 찾아가 "집 비워달라"던 유튜버 1위…새집 100채 줬다 "나는 귀엽고 섹시" 정견발표하다 상의탈의…도쿄지사 선거 막장

    #해외이슈

  • [포토] '분노한 農心' [포토] 장마시작, 우산이 필요해 [포토] 무더위에 쿨링 포그 설치된 쪽방촌

    #포토PICK

  • "10년만에 완전변경" 신형 미니 쿠퍼 S, 국내 출시 '주행거리 315㎞'…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 공개 911같은 민첩함…포르셰 첫 전기SUV '마칸 일렉트릭'

    #CAR라이프

  • [뉴스속 인물]"MS 주식이 대박"…빌 게이츠보다 돈 많은 전 CEO [뉴스속 그곳]세계 최대 습지 '판타나우'가 불탄다 [뉴스속 용어]불붙은 상속세 개편안, '가업상속공제'도 도마위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