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양낙규의 Defence Club]6차례 북핵에 백두산 견딜까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RSS
백두산 천지

백두산 천지

AD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백두산은 북한의 6차례 핵실험에 견딜 수 있을 까. 북한이 3일 단행한 6차 핵실험의 위력이 100kt으로 추정된다. 북한의 1차 핵실험(2006년 10월 9일) 위력은 1kt 이하로 평가됐으며, 2차(2009년 6월 12일)는 3∼4kt, 3차(2013년 2월 12일)는 6∼7kt, 4차(2016년 1월 6일)는 6kt, 5차(2016년 9월 9일)는 10kt 등이었다.

전문가들은 핵실험으로도 백두산 화산폭발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핵실험으로 리히터 5 안팎의 지진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북한이 1,2차 핵실험을 실시한 곳은 백두산 동쪽인 함북 길주군 풍계리 일대다. 이곳에 지표면으로부터 땅을 약 2km를 판 후 핵실험을 실시했다. 하지만 핵실험 아래에는 백두산과 연결된 마그마층이 있다. 1층 마그마(지하 10km 지점)와 2층 마그마(지하 20km 지점)다. 이때문에 백두산과 연결된 마그마 층과 핵실험 장소 간 거리는 8km밖에 안 되기 때문에 핵실험이 마그마 층을 자극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분석이 제기된 바 있다.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장은 북핵실험과 백두산 폭발 사이의 관계를 살핀 국내 연구팀의 연구 결과에 대해서도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당시 연구 결과는 백두산 마그마 방에 마그마가 꽉 찼고, 북한이 핵실험으로 규모 7.0 정도의 인공지진을 일으키면 백두산이폭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이었다.

만약, 백두산 화산이 폭발하면 남한에 최대 11조1900억원에 달하는 재산피해를 줄 것이라는 예측 결과도 나온바 있다. 폭발지수(VEI) 8단계 가운데 5단계 이상의 대폭발이 발생한 때를 가정한 수치다.

국민안전처가 주관한 윤성효 부산대 지구과학교육학과 교수 연구팀의 '화산재해 피해예측 기술개발' 용역에 따르면 VEI 7로 백두산 화산이 폭발하고 북동풍이 불면 남한 전역에 화산재가 쌓여 4조 5189억원에 달하는 농작물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화산 폭발 8시간 후부터 강원도를 시작으로 화산재가 유입돼 48시간 후에는 전남 서남부 지역을 제외한 남한 전역이 영향권에 들어간다.

백두산은 통상 100년에 2∼3차례 분화했고 마지막으로 분화한 것은 지난 1925년이다. 지난 2002∼2003년에는 백두산의 화산활동이 활발해져 다시 분화 위기가 찾아온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관련 학계는 뚜렷한 기록이 없기는 하지만 백두산이 1천년 전 10세기에 인류 역사상 최대 폭발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돼 백두산이 다시 대폭발 하면 대규모 재앙이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백두산이 마지막으로 화산폭발한 1000년전 분화당시 규모를 기준으로 한다면 화산폭발지수(VEI)는 7.4이 나온다는 분석도 있다. VEI가 8이면 '슈퍼화산'이다.
우리 정부가 우려하는 것은 화산재로 인해 농사가 불가능해진다면 식량난으로 대규모 탈북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기획재정부의 '2010년 거시경제안정보고서'는 겨울에 백두산이 분화하면 북풍이나 북서풍을 타고 화산재가 남쪽으로 내려와 항공기를 통한 수출길이 막히고 이상 저온현상으로 농산물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또 폭발 이후 화산재가 편성풍의 영향으로 북한 함경도 일대의 철도, 도로, 전기, 수도 등 사회기반시설을 무용화 시킬 가능성도 높다.

백두산이 폭발하면 함경도 등 반경 약 100㎞ 내에 산사태, 홍수 등 피해가 예상된다. 지난 1902년에도 서인도제도 마르티니크섬의 몽펠레화산에서 화쇄류가 분출하면서 약 3만명의 시민 대부분이 전멸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백두산 화산연구 권위자로 통하는 부산대 윤성효 교수는 "북한의 핵실험이 어느정도의 폭발력을 보일지, 그리고 핵실험이 백두산 화산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가늠하기 어렵다"면서도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어 우려스러운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국민안전처가 개최한 '화산재해 저감을 위한 국제워크숍'에서 함희정 강원대 건축공학과 교수는 "한반도 상공에 화산재가 머무는 기간은 짧게는 하루나 이틀에서 최대 1주일 정도로 예상된다"며 항공교통 마비, 농작물 피해, 대기질 오염에 따른 사망자 발생 등의 피해 상황 예측 결과를 발표했다.

항공 교통(Air Transportation)의 경우 우리나라의 1주일 항공기 운항 규모는 약 5700여편인데, 화산재가 하늘을 뒤덮을 경우 평균 77%의 항공기가 운항을 할 수 없게 된다는 게 함 교수의 발표였다. 화산재가 유입되는 첫날에 14.45%, 둘째 날에 41.23%가 결항하며, 나흘째가 되면 항공기 운항이 전면 중단 돼 화산재가 사라질 때까지 결항이 지속된다.

당장 화산폭발로 이어지지 않더라도 핵실험을 진행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근처에 살던 북한 주민들의 피해도 만만치 않다는 조사결과도 제시됐다. 최경희 통일비전연구회장은 북한의 1∼3차 핵실험을 근처에서 경험한 함경북도 길주군 길주읍 출신 탈북자 17명을 심층면접 조사한 자료를 10일 공개했다.

북한은 5차 핵실험을 단행한 뒤 "이번 시험에서 방사성 물질 누출현상이 전혀 없었고, 주위 생태환경에 그 어떤 부정적 영향도 주지 않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고 발표했다. 방사성물질 누출현상이 발생했기 때문에 북한이 의식적으로 반박하고 나섰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번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방사능이 핵실험장 인근의 지하수를 오염시켰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2006년 북한의 1차 핵실험을 경험한 한 여성 탈북자는 "길주는 원래 물이 좋기로 소문난 곳"이라며 "시점이 정확하게 기억나지 않지만, 어느 날부터 우물 맛이 이상해지고, 빨래를 헹구어도 앙금이 나왔다"고 진술했다.

홍용표 전 통일부 장관은 최근 카자흐스탄 아스타나에서 열린 '핵 없는 세상 만들기' 국제회의에 참석해 "북한의 핵실험은 지금까지 모두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라는 지역에서 실시됐다"면서 "핵실험장에서 불과 30km 정도 떨어진 마을 출신인 탈북자들을 상대로 한 조사에 따르면 지역 주민 중 상당수가 암, 심장병, 감각기관 이상, 다리 마비 등의 증상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이슈 PICK

  • 명동 한복판에서 '파송송 계란탁'…'너구리의 라면가게' 오픈 [포토] 북, 동해상 탄도미사일 발사 홍명보, 감독 못 찾은 축구협회에 쓴소리 "학습 안됐나"

    #국내이슈

  • "나는 귀엽고 섹시" 정견발표하다 상의탈의…도쿄지사 선거 막장 빨래하고 요리하는 유치원생…中 군대식 유치원 화제 '패혈증으로 사지 절단' 30대女…"직업 찾고 사람들 돕고파"

    #해외이슈

  • [포토] 오늘부터 유류세 인하 축소 7월 첫 주에도 전국에 거센 호우…한동안 장마 이어져 [포토] '한 풀 꺽인 더위'

    #포토PICK

  • "10년만에 완전변경" 신형 미니 쿠퍼 S, 국내 출시 '주행거리 315㎞'…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 공개 911같은 민첩함…포르셰 첫 전기SUV '마칸 일렉트릭'

    #CAR라이프

  • [뉴스속 그곳]세계 최대 습지 '판타나우'가 불탄다 [뉴스속 용어]불붙은 상속세 개편안, '가업상속공제'도 도마위 [뉴스속 용어]강력한 총기 규제 촉구한 美 '의무총감'

    #뉴스속OO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